김주영의 잘가요 엄마를 읽었습니다 본문
김주영 작가님이 TV에서 인터뷰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습니다.
문단에 등단한지 41년만에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글을 썼다는 내용이었는데 제목이 ‘잘가요 엄마’ 였습니다.
그때는 책 나오면 바로 사봐야지 했는데 어쩌다보니 도서관에 꽂혀있는 책을 보고서야 읽게되었습니다. 필자가 왜 그렇게 미루어 두었던 이야기를 지금에야 하게 되었을까 책을 읽으면서 이해가 되었습니다.
사는게
참 힘들었겠다.
참 무거웠겠다.
지금이라도 짐 내려놓아서 다행이다.
...... 이런 생각을 하면서 말입니다.
김주영 장편소설 ‘잘가요 엄마’
어머니의 대한 원망을 품고 홀로 선 ‘나’는 오랫동안 떨어져 살았고 정도 나누지 못했기에 어머니의 부고소식에 실감이 나지 않아 눈물도 나지 않았다 합니다.
모질게도 가난했던 어린시절, 결혼식도 하지 않은 두 명의 남편을 맞이했던 엄마.
엄마를 두 번째 남자에게 빼앗긴 불안감 속에 배다른 동생을 갖게 했던 엄마.
또 나중에서야 알게 된 누나라는 존재.
‘나’는 어려서부터 고향을 떠나와 객지생활을 한 것을 어머니의 탓으로 생각했습니다.
하지만 아우는 같은 엄마지만 온전히 배다른 형에게 엄마를 빼앗겼다고 생각했고, 곁에서 모시기만 했지 엄마에게는 늘 ‘형’밖에 없었다”고 말합니다.
‘나’는 지인들에게 알리지도 않은채 병원비와 장례비를 대는 것으로 아들노릇 다한다는 생각으로 고향에 내려가고, 아우의 집에 며칠간 머물며 지나온 삶을 더듬어 봅니다.
어머니의 유골을 뿌리면서 엄마를 이해하고 끝없이 희생하고 아들을 위해 한 평생을 살다 간 엄마를 회상하며 눈물을 흘립니다.
‘잘가요. 엄마’
안개처럼 씨앗처럼....
지금 내 나이가 그때의 엄마 나이를 훌쩍 넘고 보니 “후회없는 자식이 있을까” 하는 생각이 듭니다.
자식은 마음속에 응어리진 미움을 버리지 못하고 살아갈 수 있지만 엄마는 어떤 경우에도 자식을 미워 할 수 없다는 것을 지금은 압니다.
지난 세월 힘들어도 내색도 원망도 없이 살아온 우리 엄마들...
지금은 엄마가 된 우리세대와는 모습이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.
그나마 우리들의 엄마 덕분으로 가슴에 온기라도 채우고 있는 것이겠지요.
담담하게 이야기하듯 했으나 결코 담담하지 않은...
머리에 꿀밤 한 대 맞은 듯한 그런 작품이라고 한다면 맞는 표현인지 모르겠습니다.
'책동굴(Book review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혜민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(1) | 2013.02.02 |
---|---|
이형진 오빠의 '공부는 내 인생에 대한 예의다'를 읽고 (0) | 2013.02.02 |
강태식의 굿바이 동물원 (0) | 2013.01.29 |
새들이 보는 것 (0) | 2013.01.28 |
고혜정의 여보 고마워를 읽고 (1) | 2013.01.27 |